[오피니언] 청소년 진로역량 개발을 위해 ㅡ 최정훈 창원특례시의원

"많은 경험과 사색과 재도약의 사이클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우리 청소년들이 진로를 개척해 나가는 역량을 키우는 핵심 과제"

"마이스터고등학교 설립을 고려해야 한다"

"사회적으로 실패를 감당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길게 제공해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해 나갈 수 있게 해야한다"

청소년 진로 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우리는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시도하고 있다. 다만 교육은 미래를 향하는 것인데 우리는 미래를 완벽히 예측할 수 없다. 사회가 많은 직업교육과 진로 탐색을 위한 도움을 제공하더라도 결국은 청소년들이 살아갈 미래의 어느 순간에는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탄력성을 발휘해야 하는 순간을 마주할 것이다.


▲ 창원특례시의회 최정훈 의원 (최정훈 의원 제공)


지금의 유망직업이 10년 후에도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결국 더 많이 시도하고, 실패하고 또다시 시도하는 탄력성과 회복력을 기르는 데 집중하는 것이 옳은 방향일 것이다. 실패를 감당할 수 있는 사회적인 시간은 한계가 있다. 그 안에 많은 경험과 사색과 재도약의 사이클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청소년들이 진로를 ‘개척’해 나가게 하는 주요한 방법이다.

‘대학의 소멸’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지난 10일 18일 양정호 성균관대 교수가 발표한 ‘지역인재 육성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대학 발전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대에 지방대학의 50% 소멸한다고 한다. 이것은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결과에 더해 대학이라는 공간이 가졌던 기능, 즉 학문을 탐구하고 전문교육을 통해 인재를 육성하고 사회로 보내는 기능이 종말을 향해 간다는 의미도 담겨있다고 본다. 시대의 변화는 대학을 졸업하는 4년, 7년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입학했을 때의 세상과 졸업할 시기의 세상은 달라져 있기 때문이다.

대학이 필요 없는 시대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소수의 기초과학 및 의학 등 고등학문이 필요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대학 교육은 직업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길이 아니다. 대학 졸업장을 얻기 위해 학생들과 부모들은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지만, 그 졸업장이 취업을 보장해 주지 못한다는 현실은 우리 청년들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세계 주요국들은 ’디지털 인재 양성’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다. 교육부도 '미래 세대 핵심 역량으로 디지털 기초소양 강화 및 정보교육 확대'를 지난 2021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핵심 추진 사항으로 반영했다. 우리나라 역시 디지털 인재 양성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를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 천명한 것이다. 그 결과 초등학교 실과 교과 정보교육 시간을 17시간에서 34시간으로 확대했고, 중학교 정보 교과 시간을 34시간에서 68시간으로 확대했으나 여전히 부족하다.

대기업들은 신입사원을 뽑을 때 ’경력자’을 우선 선발한다. 최대한 젊은 시절에 많은 업무 경험을 한 사람을 우선 선발하겠다는 의미다. 거기에 맞추어 경험과 스토리를 만들기 위해 많은 케이스 스터디와 기업 프로젝트를 수행해 보는 프로그램이 지금 몇몇 지자체에서 ’디지털 부트캠프‘라는 이름으로 시작하고 있다.


기업들이 의뢰하는 프로젝트들을 가져와서 아무런 사전 지식과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 던져주고 그것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 프로그래밍이면 그 자리에서 몇 날을 밤을 새워 스스로 학습하게 한다. 함께 참여한 강사들은 함께 숙식하며 옆에서 이끌어 준다. 그렇게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년 이상의 기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수료생들은 그 경력을 인정받아 신입사원으로 입사한다.

많은 경험과 사색과 재도약의 사이클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우리 청소년들이 진로를 개척해 나가는 역량을 키우는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고 앞서 언급했는데, 그 해결책들은 다양할 수 있으나, 그중 우리가 고민해 봐야 하는 것이 마이스터고등학교 설립이다.


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 게임·디자인 마이스터고, 수소·방산·공학 마이스터고, 로봇·IoT 마이스터고 등 다양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이야말로 청소년들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요람이라고 본다. 관련 교육과 케이스 스터디를 고등학교 과정에서도 충분히 다룰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 때부터 서비스를 만들어 보고, 제품을 만들어 보며, 프로그램을 기획해 보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서 역량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그 곁에서 부모와 선생님과 지역사회가 격려해 주고 지원해 줄 수 있다면, 그 역량이 곧 탄력성이고 진로 개척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의 청소년들은 비싼 학비와 주거비를 지출하며 의미 없는 졸업장을 위해 4년, 7년을 사용하기보다 곧바로 창업을 시도할 수 있다. 실패하더라도 지역사회는 법률과 지방 재정으로 재도약의 기회를 두텁게 제공하면 된다.


실패가 단순한 실패가 아닐 수 있게, 사회적으로 실패를 감당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한 길게 제공해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해 나가 창업가가 될 수 있고, 그것을 기반으로 원하는 기업에 입사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행정과 의회에서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마땅히 갖추어야 할 최우선 역량이 아닐까.<끝>


창원특례시의회 경제복지여성위원회 최정훈 의원

(창원시 진해구 이동, 덕산동, 자은동, 풍호동)

[email protected]


[경남포스트]정균식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