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는 김해한글박물관이 ‘세종대왕 탄신일’ 국가기념일 지정 첫해를 맞아 ‘세계와 소통하는 한글’ 테마전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글로컬 시티 김해’ 슬로건에 맞춰 <사민필지>, <첩해신어>, <동문유해> 등 한글이 조선을 넘어 세계로 알려지는 순간을 살펴 볼 수 있는 책자들을 전시하고,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의 조각가 김영원 작가가 제작하여 기증한 '세종대왕 조각상'과 세종대왕으로 변신한 토더기를 활용한 포토존도 구성된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하여 약 600년의 시간을 넘어 세종대왕과 직접 대화해보는 시민 참여형 체험프로그램도 선보일 예정이다.
김해한글박물관은 김해 출신 한글학자 한뫼 이윤재(1888-1943), 눈뫼 허웅(1918-2004)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자 지난 2021년 개관한 박물관으로, 공립박물관 최초로 국립한글박물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2년에는 전국 박물관 최초로 용비어천가 원본 전체 공개, 2023년에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의 조각가 김영원 작가가 제작한 ‘세종대왕 조각상’을 기증받아 전시하는 등 한글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 왔다.
‘세계와 소통하는 한글’ 테마전 관람과 체험 프로그램 참여는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한 달간 무료로 가능하다.
이동희 문화예술과장은 “한글은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드문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문자다. 우리 김해한글박물관이 한글을 주제로 하는 박물관인만큼 지역의 한글 관련 명사(名士)들을 알리는 것은 물론 ‘세종대왕 탄신일’ 국가기념일 지정 첫해를 맞아 세종대왕과 한글하면 김해가 떠오를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해한글박물관이 세종대왕 탄신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첫해를 맞아 ‘세계와 소통하는 한글’ 테마전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한 달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글로컬 시티 김해’라는 슬로건 아래, 한글이 조선을 넘어 세계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민필지>, <첩해신어>, <동문유해> 등 희귀 고서와 자료를 선보인다. 이 책자들은 한글이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의 문자를 넘어 다국어 소통과 국제 교류의 도구로 활용된 역사적 순간을 담고 있어, 한글의 세계화 여정을 조명한다.
전시장에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의 조각가 김영원 작가가 제작해 기증한 ‘세종대왕 조각상’과 세종대왕으로 변신한 토더기 포토존이 마련돼, 관람객에게 색다른 체험을 제공한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해 약 600년의 시간을 넘어 세종대왕과 직접 대화해보는 시민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최신 인공지능 챗봇 기술을 결합해, 관람객이 세종대왕에게 한글 창제의 의의, 집현전 운영, 조선시대 문화 등 다양한 질문을 실시간으로 던지고 답변을 듣는 방식으로, 박물관 전시의 몰입감과 교육 효과를 높인다.
김해한글박물관은 김해 출신 한글학자 한뫼 이윤재, 눈뫼 허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21년 개관했으며, 공립박물관 최초로 국립한글박물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국 박물관 최초로 용비어천가 원본 전체 공개, 세종대왕 조각상 전시 등 한글문화 확산에 앞장서 왔다. 이번 테마전은 한글이 단순히 한국의 문자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시대 글로벌 소통의 도구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로, 지역 명사와 한글의 세계화 과정을 함께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관람과 체험 프로그램은 모두 무료로 진행되며, 김해시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세종대왕 탄신일=김해’라는 이미지를 확립해 한글문화 도시로서의 브랜드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