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수 창원시의원(구산, 진동, 진북, 진전면, 현동, 가포동)은 12일 열린 제14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경로당에 경찰과 연계된 비상벨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의원은 현재 경로당의 중요성에 비해 보안과 안전은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말했다. 2023년 보건복지부 실태조사를 보면 전체 노인의 26.5%가 주당 평균 3회 이상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다.
이 의원은 “대부분 경로당은 출입통제 시스템, CCTV, 비상벨 등 기본적인 보안 장비가 부족하다”며 “이용자는 대부분 고령자이므로 위기 상황 대처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경로당이 범죄나 사고에 취약해 경찰 연계 비상벨 등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또한, 창원시가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만큼 경로당 이용 인구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 의원은 “서울 구로구, 대구 수성구, 김해시 등 이미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어르신의 안전은 선택이 아닌 지방정부가 책임져야 할 기본적 복지”라고 강조했다.
창원은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에 육박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실제로 경로당은 출입통제, CCTV, 비상벨 등 기본 보안장치가 부족한 곳이 많고, 이용자의 대부분이 고령자여서 범죄나 응급상황에 취약하다.
2023년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노인의 26.5%가 주당 3회 이상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지만, 위기 상황에 대한 체계적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 의원은 서울 구로구, 대구 수성구, 김해시 등 이미 일부 지자체가 경로당에 경찰과 연계된 비상벨을 설치해 운영 중임을 언급하며, 창원시도 어르신 안전을 위한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구로구 등은 비상벨을 누르면 112상황실과 바로 연결돼 경찰이 신속히 출동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범죄 예방과 응급상황 대처에 실질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창원시는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에 다양한 스마트 돌봄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지만, 물리적 보안장치와 위기 대응 체계는 여전히 보완이 필요하다.
경로당 비상벨 설치는 단순 장비 도입을 넘어, 경찰·지자체·복지관의 협력, 정기 점검, 어르신 안전교육, 신속 출동 프로토콜 등과 연계될 때 진정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